- Claire Jung
조기 전형 지원 학교로 부터 결정 보류 통보를 받았다면?
12월 중 조기 전형 합격여부 결과가 통보된다. 그런데, 받은 결과가 합격도 불합격도 아닌 결정보류(deferral)라면? 결정보류라는 통보에 실망하기는 이르다. 결정 보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한번 더 합격 가능성을 높일 방법을 모색해 보도록 하자.
결정 보류란 조기 전형 지원자의 입학 결정 여부를 정규 입시전형 지원자들과 함께 정시 결과 통보일인 4월까지 보류한다는 뜻이다. 지난해 Standford 대학은 6948명의 조기 지원자 중 748명이 합격하고 593명이 결정 보류 통보를 받았다. Harvard에서는 4692명 조기지원자 중 3197명이 결정 보류, 748명이 합격 통보를 받았다. Georgetown 대학은 조기 전형에서 불합격한 모든 지원자들이 자동적으로 정시 라운드로 넘어가는 결정 보류 결과를 받았다. 결정 보류는 불합격 통보가 아니다. 입학 사정관들에게 이것은 지원자를 정규 전형의 보다 광범위한 전형에서 다시 한번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를 뜻하는 것이므로 지원자들에게는 한번 더 도전해볼 좋은 기회로 삼을 수 있는 것이다. 의기소침하지 말자. 정시 전형에서의 입학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이다.
첫째, 지원한 학교의 결정 보류 정책과 규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다. 일부 학교에서는 결정 보류 지원자들에게 전화, 편지, 추가 서류 등을 보내지 말라는 확실한 규정을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운셀러와 상의해 보고 결정 보류에 대해 취할 효율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둘째, 가장 보편적인 방안은 대학에 편지를 쓰는 일이다. 만일 그 대학이 여전히 탑초이스 학교라면 학교에 대한 자신의 지속적인 관심과 합격시 반드시 등록하겠다는 의도를 담은 편지를 보내 보기를 권한다. 왜 그 대학에 꼭 가야하는지 다시 강조하는 디퍼럴 레터를 쓰고, 조기전형 지원 이후 새로 추가할 교과목 성적, 수상 여부, 추가 추천서 등 자신의 프로파일을 강화시킬 만한 자료들을 보내도록 하라. 지원자가 결정 보류로 분류된 이유는 아주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입학 사정관에게 최종 결정에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필수이다. 간결하지만 주목할 정보가 있고,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긍정적인 자세로 정규 지원할 타학교 지원서 작성에 최선을 다하라. 아직 조기로 지원한 자신의 탑초이스 학교 합격 가능성은 열려 있다. 통계적으로 결정 보류 지원자의 약 10% 정도가 정규 지원 전형에서 합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타학교에 지원해 합격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놓쳐서는 안될 것이다. 결정 보류 학교에 대한 구체적인 보완 계획과 함께, 타대학 정규 입시 전형에 지원할 준비를 게을리 하지 말고 지원하는 모든 학교들이 자신의 탑초이스 학교인 듯 원서를 작성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