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aire Jung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 Education) Program 지원을 위한 준비
STEM 관련 분야의 직종들이 전도 유망함을 더 이상 강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STEM 관련 직업군들은 타분야 직업군 보다 앞으로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지만, 성장 속도 만큼 각 대학 STEM program 지원자들 수 또한 해마다 크게 늘고 있는 실정이라 치열한 경쟁이 해를 거듭하고 있다. 대학의 STEM Program에 지원하여 전공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12 학년 원서 작성 전 고교시절 전반에 걸쳐 해야할 것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첫째, 리서치 실험 연구소(Research Lab)에서 자원 봉사 하기를 권한다. 과학 관련 분야에서 경험을 쌓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실제로 실험에 참여하여 리서치를 실행하는 것이다. 리서치 랩에서 자원봉사 하는것은 직접 경험을 쌓는 일일 뿐 아니라 대학에서 STEM Program 중 정확히 전공하고자 할 분야를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자신이 리서치 분야에 강점이 있는지, 생물학 실험에 흥미를 느끼는지, 아니면 화학이나 물리학 쪽에 더욱 몰두하게 되는지를 실제로 파악하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살고 있는 인근 지역에 이러한 연구실들이 있는지 찾아보고, 고교 학생들이 자원 봉사자로 일할 수 있는지 조사해 보도록 하자. 리서치 연구실이 있는 인근 칼리지나 대학 역시 자원봉사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훌륭한 기관이라는 것을 명심하자.
둘째, 수학 경시 대회나 대외적으로 공인된 수준 높은 테스트를 치룸으로 자신의 수학 과학 실력을 입증해 볼 기회를 만들어보자. AMC 10과 AMC 12와 같은 MAA American Mathematics Competitions, 이보다 더 높은 레벨의 경시대회인 AIME( American Invitational Mathematics Examination)과 같은 경쟁에 참여하여 실력을 인정받는다면 대입 지원시 실력을 입증함은 물론 얼마만큼 수학 과학 분야에 열정을 가지고 몰두했는지 보여줄 방편이 될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셋째, 과학 수학 엔지니어링 관련 클럽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하지만 직접 클럽을 조직하여 멤버를 모으고 조언할 선생님이나 전문가를 구하여 관심있는 활동을 해보는 것도 적극 권한다. 예를 들어 직접 조직한 Robotics Team 에서의 활동 내역들과 경력은 대입 지원시 분명 수많은 지우너자들 사이에서 빛을 발할 것이다. (관련 웹사이트: www.usfirst.org)
넷째, 만일 자신의 관심있는 특정 분야가 분명하고, 그와 관련된 활동들을 해오고 있다면, 자신만의 실험이나 리서치에 도전하는 것도 생각해 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친환경 엔지니어링이나 친환경 에너지 활용 등의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다면, 직접 모형 wind turbine을 디자인 하고 만들어 작동시켜 보거나, 혹은 자신만의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을 고안해 보라. 실험 제작과 작동 등의 전 과정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두면 나중에 입증 자료로 유요하게 쓸 수있을 것이다. 관심 분야에 다른 누구보다 남다른 열정과 노력, 창의력을 쏟아 붓기를 주저하지 않는 학생에게 가능성은 끝이 없는 것이다. 조언해 줄 전문가나 선생님을 적극적으로 찾아보도록 하자. 과감히 도전해 보자.
STEM 분야 직종들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해 갈 것이다. STEM Program에 관심이 있다면, 수학, 과학, 테크놀러지, 엔지니어링분야의 도전적인 커리큘럼 선택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이외에 STEM 관련 프로잭트, 과외 활동, 혹은 경시 대회에 참여함으로써 깊이있는 지식을 쌓고, 자신만의 특정 관심 분야를 발견하고, 더불어 대입 지원시 다른 수많은 지원자들 사이에서 단연 주목 받는 기회로 삼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