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earch
  • Claire Jung

칼리지 리서치, 어떻게 해야할까?

대학 지원을 위해 해야할 첫 작업은 지원할 대학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다. 자신만의 리스트를 만들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일은 대학들에 대한 리서치 작업이다.

대학에 진학하려는 궁극적인 이유는 좋은 교육을 받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칼리지 리서치에서가장 중요한 것은 그 학교에서 무엇을 배울것인가이다. 웹페이지를 방문해 제공하는 코스와 프로그램 교수진 등을 살펴보는 것을 우선 순위에 둔다: 선택하고자 하는 전공을 위한 필수 과목은 무엇인가? 관심을 끄는 클래스가 있는지? 전공 학과의 규모는 얼마나 큰지? 참여할 수 있는 리서치 프로젝이나 인턴쉽 기회가 가능한지? 등의 질문을 가지고 조사해 보아야 한다. 만일 전공 결정을 하지 못했다면, 더욱 신중히 리서치 해보아야 한다. 많은 대학생들이 재학 중 한번 이상 전공을 바꾸게 된다. 그러므로 대학의 전반적인 학업 환경과 커리큘럼 등에 대해 파악해야 한다.

두번째로 고려해야할 것은 소셜 팩터이다. 다시말해, 대학에 다닌다는 것이 학업적인 면 뿐 아니라 그곳의 사회적 환경을 경험하는 것이므로 대학 생할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다이닝, 하우징, 클럽 활동 등을 포함해 대학에서의 사회 생활과 함께 학교 주변 환경 역시 살펴보아야 한다: 반드시 선택해야 하는 밀플랜(meal plan)이 있는지? 캠퍼스 안과 밖 어디에서 식사를 할 수 있는지? 캠퍼스 내 어떤 클럽들에 조인할 수 있으며 그 클럽들이 어떤 이벤트 등을 주최하는지? 몇퍼센트의 학생들이 프레터니티(fraternities)와 소로리티(sororities)에 참여하고 있는지? 기숙사는 어떻게 배정되는지? 첫 학년에 몇명의 룸메잍과 생활하게 되는지? 등의 질문 목록을 가지고 조사해 본다.

세번째로 고려할 것은 각 대학들이나 기관들이 보여주는 여러 통계 숫자들이다. 예를 들어 대학들의 입학률은 대학 리스트를 만들때 어느학교가 자신의 리치(reach), 타겟( target), 라이클리( likely) 학교로 분류될지를 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입학률만 가지고 결정한 학교가 자신에게 맞는 학교인지는 알 수 없는것이다. 눈여겨 봐야 할 대학의 통계나 숫자를 살펴보자

Retention Rates –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2학년에 다시 등록하는지? 4년을 모두 마친 졸업생은얼마나 되는지?

Diversity –세계 어떤 지역, 나라, 민족, 문화의 다양성을 가진 학생들이 해당 학교에 다니는지? 남학생과 여학생 비율은? 대학이 그러한 비율과 다양성을 가지도록 영향을 주거나 추구하고 있는 정책은 무엇인지?

Career development – 어떤 직업 연계 서비스가 있는지?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재학 중 인턴쉽을하는지?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졸업 6개월 이내에 취업을 하는지? 비즈니스, 법조계, 의학계, 등의 방향으로 진출하는 학생들은 각각 얼마나 되는지?

School size and location – 어떤 규모의 학교가 맞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학교의 위치가 도심에 있는지, 조용한 외곽이나 시골에 있는지? 지역 교통수단과 날씨 등에 관한 숫자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기억한다. .

마지막으로, 대학 리스트를 만들기 위한 이러한 리서치 작업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해볼것을 권한다. 학교 웹사이트, 브로셔, 대학에서 발행하는 신문, 재학중인 학생, 졸업생, 또 미디어나 출판물을 통해 접하는 참고 자료들도 유용하다. 다양한 방법의 리서치가 중요한 이유는 한가지 소스를 통해서 얻는 정보가 그 학교에 대한 모든 것을 사실대로 전할 수 없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모든 방법 중, 가장 좋은것은 해당 대학을 직접 경험하는 것이다. 반드시 방문해 보자. 가능하면 수업이 진행되는 학기 중 하루 이틀 정도 학교에서 밤을 지내보고 수업을 참관하는 등의 캠퍼스 생활을 체험해 본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관심 대학을 리서치 하고 지원할 대학의 리스트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사실상 대학 입학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준비 작업이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깊이있게 접근한 리서치는 원서 작성과 에세이를 쓸 때에도 지원자의 심도 있는 정보와 관심을 표현할 수 있는 준비 작업임도 잊지말자.

62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 2018 SAT Summer Camp [ June 18th - August 24th, 10 weeks ] ​ As the weather finally warms up, it is time to start making plans for the summer! This year, we will offer our usual intensive summer pr

bottom of page